HOME  >  축구/스포츠정보

축구/스포츠정보

어떻게 동기부여를 제대로 할 것인가? 1.
작성자 : 관리자(visualcanada@naver.com)   작성일 : 2017-01-23   조회수 : 2033

 

심리 상담사님의 동의하에 올리는 글이기에 무단 복사 및 배포를 금지 합니다.

 

한 어머니로부터 한국 학습프로그램들이 아주 기가 막히게 잘되어있어서 아이들이 그 프로그램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덕분에 자신의

아이도 한동안 그 프로그램 덕분에 아이와 실랑이 없이 수월하게 공부를 할 수 있었다는 얘기를들었다. 보아하니 컴퓨터로 놀이처럼

즐기며 한자를 공부할 수 있게 만든 프로그램인데 일정 학습량을 마치고나면 아이들 사이에 인기 있는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짜여 있어서

그 게임을 하기 위해 기를 쓰고 학습을 한다는 것이다. 한자 한 글자를 익히는 것도 마치 만화를 읽듯 재미있게 따라가다 보면 기억에

남게 되고 게임을 하겠다는 욕심에하기 싫다 소리를 안 하니 요술방망이처럼 신통 방통했던 모양이다. 게임이라는 뿌리치기 어려운

보상을걸었으니 그 보상이 학생들에겐 동기를 부여하였고 그 학습프로그램도 당연히 성공적이었으리라 생각된다. 실제로자녀양육의

기본은 이러한 보상원칙이다.

 

동기부여에 대한 비밀을 알아내고자 과학자들은 전구와 버튼이 있는 특수 제작한 새장을 만들어 전구에 불이 들어올때마다 비둘기가

부리로 버튼을 쪼도록 학습시켰다. 이런 훈련과정 속에서 모이를 지급받을수록 새들의 학습속도가더 빠르다는 것을 확인했고 인간에게도

이러한 보상체계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실험해보았다. 알피콘이 소개한 금연 사례도 그 중의 하나이다. 금연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한 그룹에게는 머그컵이나 여행권을보상으로 내 걸었고 다른 그룹에는 아무 보상도 주지 않았다.

 

처음에는 보상을 약속 받은 그룹들이 훨씬의욕적으로 금연에 참여하는 듯이 보였으나 3개월 후에는 두 그룹 사이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1년뒤에는 보상을 받기로 되어있는 그룹의 참여자들 가운데더 많은 사람들이 금연을 포기하였다. 애머빌의 창조성에 관한 실험 결과

역시 마찬가지였다. 인기작가로 성공하면 얻게 될 많은 것들과 부를 기대하며 창작을 한 작가들이 창작하는 과정 자체에서의 즐거움만을

상상하며 창작을 한 작가들에 비해 창조성이 훨씬 더 낮게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실험에서의 보상체계의효과와 현실 세계에서의 효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여러 사례에서 입증되었다.

 

에드워드 데시라는 정신과 의사는 나무블록 퍼즐을 가지고 사람들의 동기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험하였다. 30분간 퍼즐을 가지고

놀되 한 그룹에게는 퍼즐놀이를 완성하면 금전적 보상을 줄 것이라 약속하였고 다른 그룹에게는아무 보상도 약속하지 않았다.

처음 30분 퍼즐시간이 끝난후 그는 방에서 잠시 나갔다 들어오겠다며 10정도 자리를 비웠다. 방안책상 위에는 시간을 보낼만한 잡지도

놓아 두고 사람들이 아무도 없는 동안 어떤 행동을 하는지 관찰을 하였다. 보상이론에 의해 추측해보자면 보상을 약속 받은 그룹들은

10분 동안에도 퍼즐을 완성하기 위해 좀더 오랫동안퍼즐을 가지고 놀았어야 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데시가 실험실을떠나자 보상을 약속 받지 않은 그룹들이 오히려 더 많이 퍼즐놀이를 즐겼다. 퍼즐에 따른 보상을 약속받은 그룹은

무의식적으로 퍼즐놀이가 재미있는 놀이가 아닌 끝내야 할 숙제로 인식한 반면 보상을 약속 받지 않은 그룹에게 그것은 단지 재미있는

놀이로받아들여졌으므로 더 오래 즐길 수 있었던 것이다.

 

욕쟁이 10대들을 손들게 만든 한 노인에 관한 일화가 이를 더 잘나타내고 있다. 자신의 집 앞을 지날 때마다 욕을 해대는 10대들

때문에 속을 끓이던 한 노인이 묘안을 짜냈다. 아이들이 나타나자 돈을 나눠주면서 계속 욕을 해달라고특별히 부탁(?)을 했던 것이다.

돈을 받은 아이들은 영문은몰랐지만 기꺼이 계속 욕을 해주었다.  다음주가 되자 노인은 돈이 별로 없다며 좀 적은 액수를 주며 똑 같은

부탁을 했다. 이때도 아이들은 시키는대로 욕을 계속했으나 그 다음주 더욱 보잘것 없는 돈을 받자 화가 난 아이들이 급기야 욕하기를

중단했다고 한다.아이들에게 더 이상 욕은 놀이가 아니라 보상을 받아야 하는 일이 되었던 것이다.

이전글 어떻게 동기부여를 제대로 할 것인가? 2.
다음글 감정, 내 맘대로 만들기 2.